절대평가, 상대평가, 과락, 커트라인 시험용어 정리 (1/2)
안녕하세요? 이번 포스트에서 상대평가, 절대평가, 과락, 커트라인(=커트, 컷, 합격컷) 등 시험 종류 관계없이 공통적으로 쓰이는 용어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. 상대평가 (상평) 한 명, 한 명에 대해 전부 우열을 가려야 할 때 쓰입니다. 예시로 바로 이해시켜 드리겠습니다. 합격시킬 수 있는 정원이 10명으로 고정된 시험이 있다고 치겠습니다. 100명이 지원한 경우 한명, 한 명을 줄 세워서 어떻게든 상위 10명을 추려내야 할 것입니다. 상위 10명 뿐만 아니라, 추가합격을 고려해 지원자 100명 전원을 성적에 맞춰 줄세워야 합니다. 이럴 때 상대평가가 쓰입니다. 0.1점 차라고 할지라도 정확한 순위를 매기는 것이 상대평가 방식입니다. 합격컷(=컷, 커트, 커트라인)은 합격할 수 있는 점수를 의미하는데 ..
2023. 1. 18.
절대평가, 상대평가, 과락, 커트라인 시험용어 정리 (2/2)
안녕하세요? 상대평가, 절대평가, 과락, 커트라인(=커트, 컷, 합격컷) 등 시험 종류 관계없이 공통적으로 쓰이는 용어에 대해 마저 알려드리겠습니다. 지난번 포스트에 이어서 작성합니다. 읽지 않으신 분은 1편을 먼저 읽고 와주세요. 절대평가, 상대평가, 과락, 커트라인 시험용어 정리 (1/2) 절대평가, 상대평가의 차이와 시험 팁 지난번에 사용했던 표를 다시 가져오겠습니다 등급 원점수 학생 1등급 100 A 99 B 90 C 2등급 89 D 85 E 85 F 81 G 3등급 79 H 66 I 이 경우에 한해서 상대평가를 적용한다면 1, 2점 차이로 등수가 결정되는 학생이 존재하고 경쟁이 과열됩니다. 절대평가를 적용하면 C와 G는 아슬아슬하게 등급컷을 넘겨 수혜를 입었지만 A는 C와 10점 차이를 벌리고도..
2023. 1. 18.